Skip to main content

수능영어

수능 영어 문제 풀이 비법 및 요령

수능 영어는 듣기와 읽기로 나뉘며, 총 45문항에 100점 만점입니다. 듣기 평가가 17문항, 읽기 평가가 나머지 문항으로 구성됩니다. 도표 분석 문제와 같은 일부 유형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문제는 지문 분석을 요구합니다. 듣기는 미국 초등학생 수준으로 비교적 쉽지만, 일부 읽기 문제는 미국 대학생 수준으로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필요로 합니다. 일반적으로 수능 영어 읽기는 토플 읽기 (TOEFL Reading) 보다 더욱 개념적이고 추상적인 지문을 다루며, 단순히 단서를 찾는 것이 아니라 내용 자체를 이해해야 하므로 더 어렵습니다

1. 듣기 문제 (1-17번)

유형 분석

수능 영어 듣기 평가는 실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상황을 다룹니다. 쇼핑, 날씨, 학교 활동과 같은 실용적인 대화는 물론, 공지나 광고와 같은 담화의 목적을 파악하는 문제도 출제됩니다. 또한, 화자의 의견을 추론하거나 두 사람의 관계를 파악하는 문제, 그림 내용 일치, 할 일 파악, 숫자 정보 추론, 이유 파악 등 다양한 유형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유형들은 듣기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것이며, 실생활 영어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동시에 요구합니다.

전략

듣기 평가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략이 필요합니다. 먼저, 대화의 흐름을 놓치지 않고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대화의 맥락을 파악하고, 화자의 의도나 핵심 내용을 빠르게 이해해야 합니다. 또한, 주요 내용을 간략하게 메모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메모는 중요한 정보를 기억하고 문제 풀이에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꾸준한 듣기 연습과 함께, 다양한 유형의 문제에 익숙해지는 것이 고득점의 비결입니다.

2. 읽기 이해 (18-45번 문제)

유형 분석

수능 영어 읽기 평가는 단순 정보 확인을 넘어, 고차원적인 독해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단순한 사실 확인이 아닌, 글의 논리적 흐름과 맥락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하며, 주제 및 요지 파악, 제목 찾기, 비유 및 유추의 의미 파악, 빈칸 추론, 문장 순서 등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통해 수험생의 독해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특히, 맥락 중심의 독해와 추론, 분석, 종합 등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을 요구하는 문제가 많으며, 과학, 철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의 추상적이고 복잡한 지문이 출제됩니다. 따라서, 수능 영어 읽기 평가를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어휘 학습이나 문법 암기보다는, 다양한 분야의 글을 읽고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연습을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략

수능 영어 읽기 평가에서 고득점을 얻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핵심 전략을 숙지해야 합니다. 먼저, 지문을 읽을 때 세부 사항에 집착하기보다는 전체적인 흐름을 빠르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대조 (e.g., but, however) 나 결론 (e.g., therefore)을 나타내는 연결어를 활용하여 글의 논리적인 흐름을 정확하게 이해해야 합니다. 주제 및 요지 파악 유형의 문제에서는 정답을 고르는 것만큼, 오답이 왜 틀렸는지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글에서 제시되는 두 핵심 아이디어 간의 관계 (대조 (contrast), 강조 (emphasis), 원인과 결과 (cause and effect), 증거와 추론 (inference based on evidence)를 파악하는 능력을 길러야 합니다. 더불어, 이중 부정문과 같이 복잡한 문장 구조를 이해하고, 표준 학술적 글쓰기 스타일 (academic writing style) , 즉 격식 있는 글쓰기 (formal English) 스타일을 숙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전략들을 통해 수능 영어 읽기 평가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고 3 수능 영어

고 2 수능 영어

고 1 수능 영어